IT 이론지식

데이터베이스 회복기법

쥐PT 2024. 3. 25. 14:35
728x90
반응형
SMALL

데이터베이스 회복(Recovery)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예기치 않은 장애나 손상으로부터 복구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데이터베이스 회복은 중요한 관리 작업 중 하나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안정성과 신뢰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회복을 위해서는 다양한 기법과 절차가 사용됩니다. 아래에서는 데이터베이스 회복기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

1. 백업과 복원(Backup and Restore):

  • 데이터베이스의 백업은 정기적으로 데이터를 안전한 위치에 저장하는 과정입니다. 이는 장애 발생 시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입니다.
  • 백업은 전체 데이터베이스 또는 특정 테이블, 파일 그룹 등을 대상으로 할 수 있습니다.
  • 복원은 백업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이전 상태로 복구하는 과정입니다. 장애 발생 시 백업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복원함으로써 시스템을 회복합니다.

2. 로그 기반 회복(Log-based Recovery):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트랜잭션 실행 도중에 발생하는 모든 변경 사항을 로그 파일에 기록합니다.
  • 장애 발생 시 로그를 사용하여 트랜잭션의 일부 또는 전체를 롤백하거나 재수행하여 데이터베이스를 회복합니다.
  • 로그 기반 회복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경우에도 데이터의 일관성과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3. 체크포인트(Checkpoint):

  • 체크포인트는 주기적으로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디스크에 기록하는 작업입니다.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을 때, 체크포인트 이후의 로그 데이터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일관된 상태로 회복할 수 있습니다.
  • 체크포인트는 로그 기반 회복을 보조하고, 데이터베이스 복구 시간을 단축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4. 미디어 복구(Media Recovery):

  • 미디어 복구는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인 손상으로 인해 데이터베이스 파일이 손실되었을 때 사용됩니다.
  • 백업된 데이터와 로그 파일을 사용하여 손상된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복구합니다.
  • 미디어 복구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장치 오류나 자연 재앙으로부터 회복되는 데 사용됩니다.

5. 포인트인타임 복구(Point-in-Time Recovery):

  • 포인트인타임 복구는 특정 시점 이전의 데이터베이스 상태로 복구하는 기법입니다.
  • 백업된 데이터와 해당 시점 이후의 로그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원하는 시점의 상태로 되돌립니다.
  • 포인트인타임 복구는 실수로 잘못된 데이터를 입력한 경우 등에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6. 병행 제어(Concurrency Control):

  • 데이터베이스에서 동시에 여러 트랜잭션이 실행될 때 데이터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법입니다.
  • 병행 제어 기법은 트랜잭션 간의 충돌을 감지하고 해결하여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을 보장합니다.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병행 처리 중에 발생하는 장애로부터 회복될 때, 병행 제어 기법은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위에 설명된 데이터베이스 회복기법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장애로부터 회복되는 데 사용되는 주요한 기법들입니다. 이러한 기법들을 조합하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유지하는데 기여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IT 이론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망 중립성(Network Neutrality)  (0) 2024.03.25
소프트웨어 3R(Reverse Engineering, Reengineering, Reuse)  (0) 2024.03.25
6G  (0) 2024.03.25
뉴로모픽(neuromorphic)  (0) 2024.03.25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0) 2024.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