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이론지식

데이터베이스 무결성

쥐PT 2024. 3. 19. 13:25
728x90
반응형
SMALL

데이터베이스 무결성은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가 정확하고 일관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의 핵심 원칙 중 하나입니다. 이는 데이터의 유효성, 정확성, 일관성, 신뢰성을 보장하고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합니다.

 

데이터베이스 무결성은 여러 측면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개체 무결성 (Entity Integrity):
    개체 무결성은 기본 키(primary key)를 포함하여 각 행이 유일하고 null이 아닌 값을 가져야 함을 의미합니다. 즉, 테이블 내의 각 행은 식별할 수 있는 유일한 키(primary key)를 가져야 하며, 이 키는 null 값이 포함되어서는 안 됩니다.
  2. 참조 무결성 (Referential Integrity):
    참조 무결성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외래 키(foreign key) 제약을 통해 구현되며, 부모 테이블의 기본 키와 연결된 외래 키의 값은 해당 부모 테이블에 있는 값과 일치해야 합니다.
  3. 도메인 무결성 (Domain Integrity):
    도메인 무결성은 각 열이 허용된 데이터 유형과 범위 내에서만 값을 가질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 즉, 각 열은 정의된 데이터 유형과 제한된 범위 내에서만 값을 가질 수 있어야 합니다.
  4. 작업 무결성 (Transactional Integrity):
    작업 무결성은 트랜잭션 내에서 데이터베이스가 항상 일관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합니다. 이는 ACID 특성을 준수하여 트랜잭션의 원자성, 일관성, 고립성, 지속성을 보장함으로써 달성됩니다.
  5. 사용자 정의 무결성 (User-defined Integrity):
    데이터베이스 개발자가 정의한 특정 규칙이나 제약을 통해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사용자가 정의한 비즈니스 규칙이나 제한 사항을 적용하여 데이터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보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데이터베이스 무결성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핵심 요소 중 하나로, 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고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데이터베이스 설계 단계부터 데이터베이스 관리 및 운영 단계까지 각종 무결성 규칙과 제약 조건을 적용하여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IT 이론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TPU(Tensor Processing Unit)  (0) 2024.03.19
휴리스틱(Heuristic)  (0) 2024.03.19
ACID(Atomicity, Consistency, Isolation, Durability)  (0) 2024.03.19
DIKW(Data, Information, Knowledge, Wisdom)  (0) 2024.03.19
브룩스의 법칙  (0) 2024.03.19